2005.09. BSC 실천 매뉴얼 by 김희경, 성은숙

By | 2008년 1월 4일






BSC 실천 매뉴얼6점
김희경, 성은숙 지음/시그마인사이트컴
대학교 교재로 추천한다.;;

정말 이론적이고 원론적인 부분을 다룬 책이다. 내 성격상 이런책 별로 안좋아하는데, 그래도 BSC(Balanced ScoreCard)에 대해서 아는바가 너무 없어서 일단 한번 훑어나 보자는 심정으로 읽었다.

PWC(PricewaterHouse Corporation) 의 컨설턴트들이 쓴 책인데,,

BSC..  정말 중요한 부분에 관심을 가진 컨설팅 기법이다. 기업이 어떤 일을 해 나가는데 있어서 서로 같은 비젼을 공유한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그리고 한 일에 대해서 정당하게 평가받는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건인지 여실히 보여주는 방법이다.

보통 기업하면 돈을 버는 것이 비젼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절대 그렇지 않다. 단순히 돈 버는 것만을 비젼으로 한다면 은행 강도도 훌륭한 기업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 더한 무엇인가가 있기에 기업은 존재한다. 하지만 대체로 기업내에서는 생존에 필요한 돈을 버는 것에 너무 집중하다보니 정작 중요한 비젼이 파묻히는 경우가 많다.

어떠한 경우에도 바르고 정확한 비젼을 가지지 못한 기업이 장기간 성장한 전례는 없다. 비젼을 통해서 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를 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한데, 이 동기부여가 비젼을 강조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져서도 안된다. 분명 한 일에 대해서 모두가 공감하고 납득할 수 있는 성과 관리 체계도 필요하다.

실컷 일했는데, 별 인정도 받지 못하고.. 내가 한일을 다른 사람이 가로챈다든지, 전혀 공정하지 못한 방법으로 성과를 평가받을때 구성원들의 의욕은 떨어지고 점점 비젼은 온데간데 없어지고 만다.

그걸 막기 위해서 BSC 에서는 기업의 비젼을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지표들을 찾아서 그것들을 중심으로 구성원들의 성과를 평가하게 하고 있다.

개념만큼은 참 좋은 것 같은데, 이걸 어떻게 적용해서 실천하게하는지 참 궁금하다. 말은 좋은데, 과연 어떻게 해야하는건지..

이 책에서는 매뉴얼이라는 이름답게 마치 전자제품의 매뉴얼 같은 성격이 강하다. 차례대로 필요한 것들을 설명하기는 했지만, 정작 내가 필요한데로 쓰려는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는 못하다. 일반적인 이야기를 넘어서지 못했다는 것이다.

좀더 다른 자료들을 찾아보고, BSC 에 대해서 연구를 해봐야겠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