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미래,,,

By | 2010년 1월 29일

2002년쯤부터 스마트폰을 써왔었나보다. (옛날엔 PDA폰이라고 불렀었는데.. 스마트폰이라는 용어는 MS에서 만들었던 걸로 기억한다.)


POZ 2470이던가? 사이버뱅크라는 중소기업의 작품이었는데, 정말 좋은 제품이었다. 휴대폰만 써왔던 사람에게는 많이 크고 무거운 기기를 들고다녀야하는게 부담스러웠겠지만 기존에 Palm을 쓰던 필자에게는 그리 부담이 될만한 기기는 아니었다. 그 다음 썼던 모델은 HP iPaq의 RW6100, 알육이라 불리는 제품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Z 2470


KT에서 야심차게 스윙폰이라는 이름으로 출시했던 이 제품은 무거운 무게를 빼면 (충전하기 귀찮아서 대형 배터리를 항상 꽂아 썼었다;; 정말 거짓말 안하고 벽돌만했다는) ‘명품’이라고 해도 될만큼 괜찮은 성능을 보여줬던 제품이다. 특히 기존 PDA가 터치스크린 키보드 일색이었던데 반해 이 제품은 슬라이드를 통해 휴대폰 키패널을 제공했었다. 즉, PDA에 뭔가 입력할게 있으면 휴대폰 문자메세지 보내듯이 입력할 수 있었다는.


그러다 2년전 DMB가 되는 일반 휴대폰으로 갈아탄뒤 지금까지 스마트폰을 멀리(?)하고 있다. 작년 하반기 아이폰이 출시되었을때, 살짝 마음이 흔들리기는 했지만 예쁘다는 이유만으로 스마트폰을 고르기에는 마음 속의 요구사항이 너무 많았다.


모바일 디바이스


요즘 넷북, 스마트북, 스마트폰 등 온갖 종류의 디지털기기가 새롭게 탄생하고 있는데 사실 이들 사이에 큰 차이는 없다. 뭐랄까? 검은색과 흰색이 있고 그 사이에 회색이 있는데, 이 회색이 좀더 검은색에 가까운지 흰색에 가까운지의 차이만 있을뿐 회색이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듯이 말이다. 좀더 휴대폰에 가까우면 스마트폰이고, 컴퓨터에 가까우면 스마트북, 좀더 가면 넷북이 있는 정도?


궁극적으로 이 모든 기기들이 지향하는 지점은 ‘단 하나의 들고다니는 모바일 기기’다.


기억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예전에는 휴대폰, MP3, 디지털 카메라, PMP, 전자사전, 휴대용 게임기 등 을 가지고 다니지 않았던가? 하지만 어느 순간엔가 휴대폰이 MP3와 전자사전, 디지털 카메라를 흡수하면서 휴대폰 하나만 있으면 나머지는 집에 놓고다니거나 휴대폰 좋은거 하나 사고 나머지는 안사도 되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그리고 지난 28일 새벽, 애플이 요즘 살짝 뜨려고 하는 이북 리더기(e-Book Reader)까지 포괄할 수 있는 휴대폰도 아닌 이북 리더기도 아닌 PMP도 아닌 애매한 카테고리의 모바일 디바이스 ‘아이패드’를 선보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궁극적으로 이 모든 기기들은 하나의 디바이스에 집결될 것이다. 어떤 형태의 어떤 모습의 기기가 될런지는 모르지만 어쨓든 그런 녀석의 등장을 전세계인이 기다리고 있고, 상당수의 IT기업들이 그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오늘도 ‘쌔빠지게(경상도 사투리다. 겁나 열심히라는 뜻이다.)’ 고생하고 있다.


아직까지 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세는 스마트폰인듯 하다. 아이패드, 넷북이나 스마트북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가지고 다니기 불편하고(아직 좀 크다. 아이패드가 최홍만용 아이폰이라 불릴정도니..) 배터리로 쓸 수 있는 시간도 아직은 짧은 편이라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 환경을 제공받아야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는 스마트폰이 제격이다.


앞으로 한 두번의 포스팅을 통해서 향후 스마트폰이 어떻게 되어갈런지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나이트 아저씨가 그랬듯이 주변에서 흐르는 수많은 이야기들을 짜집기하고 필자 마음대로 퍼즐 맞추기를 하면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모두 다에 대해서 그림을 그려볼까 한다.

<관련 글>
스마트폰의 미래, 구글처럼 생각해야..

답글 남기기